CRUD는 뭘 뜻하는 거지?
사전적 정의보단 간단하게 말하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본 기능 4가지를 뜻한다고 한다.
C = Create 생성
R = Read 읽기
U = Update 갱신
D = Delete 삭제
이렇게 각 앞글자를 따 'CRUD'라고 한다.
언제 쓰는거지?
이 데이터 처리 기능들은 안드로이드 앱 개발 시 SQLite에서 쿼리문으로 사용한다.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의 경우 REST API를 통한 HTTP Method로 사용한다.
C = Create 생성 = POST
R = Read 읽기 = GET
U = Update 갱신 = PUT
D = Delete 삭제 = DELETE
간단하게 예를 들면 회원 가입이나 로그인, 텍스트나 이미지를 서버에 저장, 불러오거나 하는 모든 데이터 관련 부분들에서 Volley나 Retrofit를 통해 사용한다.
https://velog.io/@pock11/REST-API-CRUD
REST API, CRUD
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을 보냅니다."로그인 시켜줘""회원가입 시켜줘""메세지 삭제해줘"이 때 API라는 체계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습니다.그 중에서도
velog.io
https://okky.kr/questions/1139647
https://idkim97.github.io/2022-08-17-CRUD%EB%9E%80/
[개발상식] CRUD란?
idkim97.github.io
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9/21/rest-and-restful.html
[Network] REST란? REST API란? RESTful이란? - Heee's Development Blog
Step by step goes a long way.
gmlwjd9405.github.io
https://dev-coco.tistory.com/97
REST란? REST API 와 RESTful API의 차이점
참고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란? REST의 정의 "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" 의 약자로, 자원을 이름(자원의 표현)으로 구분해 해당 자원의 상태(정보)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. 즉, 자원(
dev-coco.tistory.com
'Android (Kotli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ndroid/안드로이드] 안드로이드 프래그먼트 생명 주기(라이프사이클 Life Cycle) (0) | 2023.03.15 |
---|---|
[Android/안드로이드] 안드로이드 생명 주기(라이프사이클 Life Cycle) (0) | 2023.03.14 |
[Android/안드로이드] Java? Kotlin? (0) | 2023.03.09 |
[Android/안드로이드] ANR이 뭐지? (0) | 2023.03.08 |
[Android/안드로이드] Android Jetpack은 대체 뭐지? (2) | 2022.09.21 |
최근댓글